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0

“우리, 언제 이렇게 멀어졌을까?” – 부부가 함께해야 하는 이유 부부만의 시간이 필요한 이유, 진짜는 따로 있어요 “상담사님, 저희는 이제 대화도 없어요. 싸움도 없고요. 그냥, 무늬만 부부예요.”많은 부부가 이렇게 말합니다. 갈등도 사라졌고, 감정도 없습니다. 처음엔 육아에, 일에 치여서 ‘잠시 미뤘던 대화’였는데, 어느 순간 서로의 하루에도 관심이 없어지고, 결국 ‘정서적으로 단절된 채 살아가는 사이’가 되어버리곤 합니다. 이런 이야기는 상담실에서 참 자주 듣습니다. 특히 ‘아이 때문에’, ‘배려 때문에’, ‘서로를 이해해주고 싶어서’ 부부가 따로 시간을 보내는 경우가 많습니요. 하지만 그게 진짜 배려일까요? 왜 ‘함께 있는 시간’이 필요할까? 하버드대학교의 75년간 진행된 행복 연구(성인 발달 종단 연구, George Vaillant 등)에 따르면,“행복한 삶을.. 2025. 4. 21.
아빠의 외도를 알게 된 그날부터.... 딸의 세상도 무너졌습니다. 💔 아빠의 외도를 알게 된 딸, 그 이후의 이야기— 엄마가 반드시 기억해야 할 것들 부부 사이의 외도는 당사자 간의 문제로 끝나지 않습니다. 특히, 그 사실을 알게 된 자녀, 그중에서도 딸에게 미치는 충격과 상처는 상상 이상으로 깊고 오래갑니다.이 글에서는 아빠의 외도를 알게 된 딸이 겪는 감정, 그리고 그 이후 엄마가 어떤 자세를 가져야 하는지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1. 아빠의 외도 사실을 알게 된 딸은 ‘아빠’가 아닌 ‘남자’로 느껴졌습니다 딸에게 아빠는 그저 '아빠'라는 역할이었어요. 그런데 외도 사실을 알게 된 순간, 아빠가 '한 남자'로 느껴지고, 그 남자의 행동이 너무 더럽고 소름 끼치는 모습으로 다가옵니다. 그 충격은 단순히 '실망'이 아닙니다. 모든 남자에 대한 혐오와 불신으로까.. 2025. 4. 18.
배우자 외도 후 부부 화합이 힘든 경우 배우자의 외도는 부부 관계에 깊은 상처를 남깁니다. 이혼을 선택하는 부부도 있지만 그것은 생각보다 그리 간단한 문제는 아닙니다. 여러가지 이유에서 이혼이 아닌 화합을 원하는 부부들이 상담을 옵니다.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피해자와 가해자를 나누는 것이 아니라, 함께 문제를 직시하고 해결해 나가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외도 후 극단적인 감정과 행동 외도가 발각되고 종료된 후, 외도자는 우울감에 빠지거나 과한 행동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이 발생하면 배우자는 또 다른 억압과 상처를 갖게 되며 더욱 혼란스럽고 불안해질 수밖에 없습니다. 중요한 것은, 어떤 이유에서든 외도는 잘못된 행동이며 배우자에게 깊은 상처를 남겼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것입니다.  반성이 없는 사람들의 문제 부부 관계 회복이 .. 2025. 3. 17.
배우자 외도를 알게 된 직후에는 그렇게 행동하지 마세요 배우자의 외도를 알게 되면, 엄청난 충격과 함께 다양한 감정이 밀려옵니다. 분노, 슬픔, 배신감, 두려움 등이 한꺼번에 몰려오며 정신적으로 큰 혼란을 겪게 되죠. 이때 많은 사람들이 본능적으로 반응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중에서 하지 말아야 할 행동들이 있습니다. 1. 자신의 잘못을 찾고 개선하려 하지 마세요 외도를 확인한 직후, "혹시 내가 잘못한 건 아닐까?"라는 생각을 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배우자가 외도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을 돌아보며 "내가 더 잘했더라면 이런 일이 없었을까?"라고 일종의 반성하는 것이죠. 그리고 이 과정에서 배우자가 싫어했던 것을 고치려 하거나 갑자기 배우자를 더 배려하고, 과거에 하지 않던 행동들을 시도하면서 관계를 개선하려고 합니다. 하지만 외도 직후에 이런 행.. 2025. 2. 24.
남편의 두 번째 외도. 결혼을 지킬 것인가? 이혼을 선택할 것인가? 남편의 두 번째 외도, 참을까? 끝낼까? 결혼 생활 중 남편의 외도를 알게 되면, 아내들은 큰 혼란에 빠집니다. 처음에는 이혼을 결심하지만, 시간이 지나며 아이들을 생각하고 여러 가지 현실적인 문제를 고려하면서 다시 마음을 돌리게 되기도 합니다. "이혼할까? 아니면 아이들을 위해 살아야 할까?"라는 갈등은 깊어지지만, 결국 많은 경우 이혼을 미루고 참게 됩니다. 이와 같은 갈등은 정말 힘든 감정의 소용돌이입니다. 하지만 이런 갈등을 아내 혼자 하는 것은 사실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만약 이혼을 선택을 한다면 이혼의 과정이 있습니다. 합의 이혼이 되면 그나마 다행이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소송을 해야 하는데 이 과정 중에도 이런저런 갈등과 상처가 발생합니다. 만약 자녀가 있다면 자녀들의 상처까지 잘 .. 2025. 2. 21.
배우자 외도로 인한 상처는 '어떻게' 한 두 가지로 해결되지 않습니다. 외도로 상처받은 배우자의 고통,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배우자가 외도로 인해 받은 충격과 고통을 외도 당사자는 온전히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그것은 지금까지 살아온 자신의 삶 자체가 완전히 무너지는 것입니다. 또한 외도한 배우자가 자신이 알고 있던 그 사람이 아닌 것 같습니다. 아무리 생각하고 이해하려고 해도 이해가 되지 않으니 점점 더 고통 속으로 빠져들기만 합니다. 하지만 외도 당사자가 고통스러워하는 배우자를 위해, 그리고 관계 회복을 위해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한다는 점은 분명 의미 있는 첫걸음입니다. 그러나 단순히 ‘어떻게 해야 하는지’ 행동 지침을 아는 것만으로는 배우자의 상처가 치유되지 않습니다.'어떻게'가 아니라 '왜'를 먼저 알아야 합니다 많은 외도 당사자들은 배우자의 고통을 제대.. 2025. 2. 8.